Technology/커넥트 서비스
-
글로벌 자동차 제조 업체 벤츠EDI 커넥트 서비스 구축 사례Technology/커넥트 서비스 2024. 6. 12. 17:29
글로벌 자동차 제조 업체인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benz)에부품을 공급하고, 조달 받기 위해벤츠EDI를 구축한 사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벤츠EDI 구축 사례벤츠, GM, 폭스바겐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 기업에서는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는 제조사에게 물품을 공급받고 발주받기 위해표준 EDI를 필수적으로 구축하였습니다.또한 지속적인 거래를 위해 EDI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오늘 소개해 드릴 커넥트 서비스의 고객사는벤츠와 계약이 진행된 M사의 헝가리 법인 입니다.파트너사인 벤츠에 물품을 납품하고,Tier2 Suppier들에게 부품을 공급받기 위해벤츠EDI 구축할 필요가 생겼으며 커넥트 서비스를 통해 그 고민을 해결해 드린 사례입니다.M사는 수많은 Tier2 Suppier 들과 벤츠 사이..
-
자동차 산업에서의 EDI 활용_인스피언Technology/커넥트 서비스 2023. 1. 27. 15:22
안녕하세요. 인스피언입니다.지난번에는 물류업 분야에서의 EDI 활용 방안과 실제 도입 성공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오늘은 이어 이번엔 “자동차 산업”에서의 EDI 활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고유한 특징 자동차 산업에 EDI의 도입과 활용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동차 산업의 고유한 특징에 대해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자동차 산업은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1,2,3차 등의 부품 공급업체들에 의해 하위부품이 공급되어 최종 제품이 완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완성차 업체와 부품 공급 업체간의 원활한 소통과 긴밀한 협업이 필수적입니다. 이 중간 과정에서 차질이 생길 시 2차, 3차 부품 업체들 간 부품 수급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데에 어려움이 생기기도 하고..
-
물류업에서의 EDI 활용_인스피언Technology/커넥트 서비스 2023. 1. 20. 14:30
안녕하세요. 인스피언입니다.EDI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오늘은 물류업에서 EDI가 활용된 사례를 통해, EDI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물류업에서 EDI가 왜 필요할까? 물류업에 EDI 서비스가 도입되면, 화물추적관리, 입출하지시, 수주관리, 발주관리, 청구관리, 수출입수속 등의 물류데이터를 사전에 표준화되어 있는 순서로 타기업/타업종 간 컴퓨터로 정보 교환이 가능해집니다.따라서 사무자동화를 통해 업무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연관 서비스간 유기적인 연결이 필요한 물류업 특성상 상업, 운송, 통관 등 다양한 분문에서 서로 밀접한 연계성과 연관성을 갖고 비즈니스 절차가 완료되어야 합니다.하지만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각 부문별..
-
EDI 표준(EDI Standard)_인스피언Technology/커넥트 서비스 2023. 1. 13. 17:30
안녕하세요. 인스피언입니다.이번 시간에 다뤄볼 주제는 바로 “EDI 표준 (EDI Standard)”입니다. EDI 표준 (EDI Standard)이란? 먼저, EDI 표준이 무엇인지 그 개념부터 알아봐야겠죠?EDI 표준 (EDI Standard)이란,사용자 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지정한 문서와 데이터의 표준 포맷을 말합니다.쉽게 말해 언어나 컴퓨터 시스템, 업무 처리 방식이 다른 거래당사자들이 서로 간 전자 문서를 자유롭게 교환하는데 필요한 “공통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EDI 표준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그렇다면, EDI 표준은 왜 필요한 걸까요? EDI 문서는 사람이 아닌 컴퓨터가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문서를 빠르게 읽고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온프레미스(On-premise) EDI와 클라우드형 EDI 비교_인스피언Technology/커넥트 서비스 2023. 1. 7. 10:00
안녕하세요. 인스피언입니다.최근 들어 기업 및 공공기관의 전자계약 도입과 데이터의 디지털 전환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인스피언에서도 클라우드형 EDI인 커넥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온프레미스(On-premise) EDI와 클라우드 EDI 에 대해 비교, 설명해드리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먼저 쉽게 말씀드리자면, IT 서비스 제작 시 필요한 자원인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다양한 자원을 ‘누가 관리하느냐’에 따라 ‘온프레미스 (On-premise) 형태인지 클라우드 형태인지가 구분됩니다. 그럼 차례대로 온프레미스 EDI와 클라우드 EDI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온프레미스(On-premise) EDI 온프레미스(On-premise) 형태는 기업 서버를 기업 자체적으로..